주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28. 치수 스타일 관리자 보충 1> 치수 스타일 관리자 창의 Text메뉴에서 핑크로 체크된 곳을 클릭하면 Text style창이 새로 열린다. 명령어 창에 St(Style)를 입력하고 글씨체를 바꿀 때 사용했던 text style창과 같다. 2> 핑크로 박스친 부분과 같이 Text color Fill color Text height에 변화를 주었다. 숫자의 색은 파랑, 바탕색은 노랑, 글씨의 높이는 기존 2.5에서 5로 바꾸면 오른쪽 그림의 치수 선처럼 변경된다. 3> modify와 override의 차이점을 보완하기 위해 update 기능이 있다. 리본메뉴의 주석(annotate)을 클릭하면 치수선의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들이 보인다. 그중에 핑크로 체크된 곳이 업데이트 버튼이다. 원래 override로 설정된 내용은 이전의 개체에.. 더보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27. 치수 스타일 관리자 치수선의 화살표, 지시선, 숫자의 상세한 설정을 위해 치수 스타일 관리자(Dimension style manager) 창을 연다. 1> 명령어 D(Ddim) 을 입력하면 치수 스타일 관리자 창이 열린다. Modify와 Overirde가 있다. Modify는 새로 설정하기 전의 치수선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미 그려져 있는 치수 선도 전부 다 바뀌는 반면, Override는 설정한 이후의 치수선만 변경되기 때문에 이전에 기입한 치수선까지 바꾸고 싶을 때는 치수 막대기의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면 된다. 2> Override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으로 바뀐다. 핑크 박스는 치수선의 화살표 부분의 설정이고, 초록 박스는 화살표 아래의 지시선을 알려 준다. 이 곳에서 색깔을 변경해도 되지만, 치수선 레이어에.. 더보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26. 치수 스타일 1> 치수 스타일 중에서 우선 글씨체를 바꿔 본다. 명령어 St(Style)를 입력하면 새 창이 열린다. 왼쪽에서 standard로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원하는 글씨체를 찾아본다. 2> 굴림체를 선택할 경우 @가 달린 굴림체는 누워있는 글씨체니까 @없는 굴림체를 선택하고 set current를 누른다. 3> 새로운 글씨체를 입력하고 싶을 때는 미리 new를 누르고 스타일 번호를 지정한 후 새로운 글씨체를 저장하면 리본 메뉴에서 선택해서 적용시킬 수 있다. 4> 리본메뉴에서 내가 저장한 스타일 번호에 새로운 글씨체들을 볼 수 있다. 치수선의 글씨체를 바꾸고 싶을 때 치수선을 선택한 후 원하는 글씨체를 클릭하면 된다. 더보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25. 치수선 치수선은 치수 막대기에서 선택할 수 있고, 명령어 창에 각각의 명령어를 입력해서 치수를 기입할 수 있다. 글씨체는 스타일 창에서 변경할 수 있고, 화살표의 크기와 모양 등은 치수 스타일 관리자에서 설정한다. 우선 치수 막대기를 꺼낸다.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1- 8> 치수 막대기 꺼내기 참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1. 내 맘대로 화면 구성하기 오토캐드 2023을 설치한 후 이제 시작해본다. 예전에 했던 버전과 많이 달라진 것 같아 조금 쫄았지만, 천천히 비교해 보면 "나도 할 수 있다". 1> 새로운 파일을 열고 시작한다. 상단 맨 위의 파일 makeoasis.tistory.com 1> 직사각형의 선과 같은 선형의 치수는 명령어 창에 Dli를 입력하고 엔터, 시작점과 끝점을 클릭하고.. 더보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24.평면도 그리기 (8) 미서기창 기본인 window1800을 이용해 스트레치로 줄여서 window900을 만들고, 같은 방법으로 window1500을 그린 다음 미러로 대칭 복사해서 window3000을 그린다. 길이 900, 3000의 미서기창이 완성되었다면 각각의 블록으로 만들어서 저장한다. 1> 중심선의 동결을 해제한 다음 블록으로 저장한 각각의 window을 불러온다. 2> 욕실에 들어가는 window900이다. 명령어 I를 입력한 후 파일을 열어서 움직이면 십자커서가 따라다닌다. 십자 커서의 포인트가 블록으로 만들 때 지정했던 Pick point이다. 십자 커서를 노란색의 외벽선 끝점에 맞추고 클릭하여 마무리한다. 3> 침실2와 침실 3에는 window1800을 불러온 후 90도 회전해서 외벽선에 맞춘다. 거실과 침실 1에는 .. 더보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23.평면도 그리기 (7) 미서기창 거실과 침실 1에는 길이 3000의 미서기 창(window3000)이 들어가고, 침실 2와 침실 3에는 길이 1800의 미서기 창(window1800), 욕실에는 길이 900의 미서기 창(window900)이 들어간다. 기본으로 window1800을 그려서 스트레치로 줄여서 window900을 만들고, 같은 방법으로 window1500을 그린 다음 미러로 대칭 복사해서 window3000을 그려본다. 1> 길이 1800의 가로선을 그리고 간격 150으로 옵셋한다. 세로선을 그린 후 간격 50과 간격 70만큼 옵셋 한다. 가운데는 중심선을 그리고 나서 간격 35로 옵셋 한다. 2> 가로선을 간격 20과 간격 50으로 옵셋한다. 트림으로 선을 필요 없는 선을 잘라낸다. 3> 가로선을 아래로 부터 간격 20과.. 더보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22.평면도 그리기 (6) 블록 불러오기 1> 블록으로 저장된 door900을 불러와서 각 개구부에 맞게 위치시킨다. 외벽선 레이어를 선택하고 중심선의 동결을 해제한다. 명령어 I(Insert)를 입력하면 오른쪽의 창이 열린다. 저장한 파일을 끌어다가 원하는 포인트에 클릭하면 된다. 2> 저장한 파일이 보이지 않는다면 1번을 클릭한다. 파일을 찾는 창이 열리면 저장한 파일을 찾아 open을 클릭한다. 3> 1번 여닫이문은 저장한 대로 불러와서 중심선의 포인트에 여닫이문의 pick point를 위치시키고 클릭하면 된다. 2번 여닫이문은 1번과 같은 길이의 문이므로 복사해서 90도로 회전시킨다. 3번 여닫이문은 2번을 대칭 복사하면 된다. 4번 여닫이문은 2번을 대칭 복사하면 된다. 5번 여닫이문은 욕실 문으로 길이가 700인 문을 넣어야 하니까 .. 더보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21.평면도 그리기 (6) 블록만들기 개구부를 뚫어놓은 외벽선에 이미 그려놓은 여닫이문을 넣는다. 여닫이문은 블록으로 만들어서 저장하면 하나의 개체가 되어 필요할 때 언제든지 불러와서 복사하거나 회전하거나 대칭 복사해서 각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1> 20장에서 그린 여닫이문 도면을 연다. 명령어 w를 입력한다. Write Block이라는 새 창이 열리면 첫번째 체크박스에 Objects를 선택한다. 두 번째 Select Objects를 클릭한다. 2> door900을 선택하면 다시 창이 열린다. Pick Point를 클릭한다. 3> 여닫이문 직사각형의 가운데점을 클릭한다. 다시 창이 열리면 저장할 곳을 찾는다. 4> 바탕화면에 새폴더(저장할 폴더)를 만든 다음 door900(원하는 파일명)으로 저장한다. 5> door700도 같은 방법으로 .. 더보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20. 평면도 그리기 (5) 작은 여닫이문 기본 여닫이문(door900)을 이용해서 욕실에 들어갈 작은 여닫이문(door700)을 그려본다. 여닫이문을 복사한 후, stretch로 줄이고 다시 원을 그린 다음 trim으로 필요 없는 선은 잘라낸다. 1> 명령어 Co를 입력한다. 복사할 개체를 선택하고 기준이 될 점을 클릭한 후 복사할 위치로 드래그하여 클릭한다. 2> 명령어 S를 입력한다. 줄어들 부분만 선택영역으로 잡아서 클릭하면 오른쪽과 같이 색이 변하면서 선택이 완료된다. 3> 끝점을 클릭하고 줄어들 방향으로 드래그한 다음, 명령어 창에는 줄어들 길이 200을 입력하고 엔터. 4> 아래의 직사각형을 줄인 것처럼 윗부분의 길이도 줄이고, 명령어 C를 입력하여 원을 그린 후 Trim으로 선 정리를 한다. 호의 모서리 끝점이 어긋나 있으니 doo.. 더보기 오토캐드 2023 배우기 - - 17. 평면도 그리기 (2) 외벽선 그리기 벽체의 두께는 전체 1.5B 공간벽 쌓기로 제시되어 있다. ( 외벽 : 외부로 부터 0.5B 적벽돌 + 50mm 단열재 + 1.0B 시멘트 벽돌) 벽돌의 표준형 치수는 길이 190, 나비 90, 두께 57이다. 벽체의 두께는 벽돌의 길이를 단위로 하여 1장 두께, 1장 반두께, 2장 두께 등으로 하며 벽돌 1장의 길이를 B로 하여 0.5B, 1.0B, 1.5B, 2.0B 등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이때 0.5B는 벽돌 반 장 길이가 아니라 벽돌의 나비 치수가 된다. 따라서 벽돌 두께 0.5B 쌓기의 벽두께는 90, 1.0B 쌓기의 벽두께는 190 {90 X 2 +10(줄눈)}이 된다. 즉, 전체 벽체의 두께는 외부로 부터 90 + 50 + 190 = 330이다. 1> 벽체 선중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내벽선..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