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거없지만 자꾸 먹고 싶은 콩나물밥

식탁 물가는 점점 무서워지고 가성비 좋은 물건에만 눈길이 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디를 가나 자기 자리를 꿋꿋이 지키는 아이들(?)을 보면 나도 모르게 엄마 미소가 나온다. 전통시장에 가면 말을 하지 않아도 한 주먹씩 인심 좋게 더 넣어주는 그것!! 바로 콩나물이다. 매콤한 양념에 나물로 무쳐먹고, 멸치육수에 김치 넣고 끓여주면 속을 뻥 뚫어주는 콩나물국이 된다. 부담 없이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콩나물밥은 말이 필요 없는 가성비 갑 그 자체 아니던가? 별거 없지만 자꾸만 먹고 싶은 콩나물밥으로 한 끼 해결해 볼까?

 

콩나물밥과 양념장

 

 

 

재료 - 쌀 1 컵 (종이컵 계량)  :  2 인분 기준
          콩나물 300g
          물 1 컵 

달래장 재료 - 달래 1 묶음
                      홍고추 1 개
                      고춧가루 1 숟가락(밥 숟가락 계량)
                      간장 3 숟가락
                      물엿 1 숟가락
                      매실청 2 숟가락
                      참기름 2 숟가락
                      통깨 2 숟가락
                      육수 1/2 컵(종이컵 계량)

 

 

1. 쌀 1 컵을 씻어서 30분 정도 물에 담가 불려준다.
냄비에 밥을 할 때는 꼭 물에 담가 불리는 시간이 필요하다. 

 

쌀 불리기

 

 

2. 콩나물 300g을 씻어서 준비한다.
깨끗이 손질한다고 머리와 꽁지까지 떼어버리면 황당한 일이 생긴다. 무밥인지 나물밥인지 형체를 알 수 없어질 테니...

 

콩나물 준비하기

 

 

3. 쌀을 불리는 동안 양념장을 만든다.
양념장에 넣을 홍고추 1개를 씨를 털어내고 곱게 다진다. 살짝 매콤한 맛을 살려줄 포인트이다. 마늘종이나 풋고추나 청양고추 다진 것도 괜찮다.

 

홍고추 다지기

 

 

달래는 향이 생명이니까 뿌리에서 잎끝까지 전부 버리지 말고 다지듯 자르기.
달래 대신 부추나 쪽파나 대파 다진 것도 괜찮다. (집에 있는 걸로 대체 가능)

 

달래 썰기

 

 

홍고추, 달래, 간장 3 숟가락, 고춧가루 1 숟가락, 매실청 2 숟가락, 물엿 1 숟가락, 참기름 2 숟가락, 통깨 2 숟가락을 넣고 양념장을 만들기.

 

양념장 만들기

 

 

간장과 매실청을 넣었어도 뻑뻑하니 육수 1/2컵 추가하기.

 

육수 추가하기

 

 

육수 1/2컵을 넣으면 짠맛은 줄어들고 비벼먹기 좋은 농도가 된다. 

 

양념장 완성

 

 

 

4. 냄비에 불린 쌀 깔아 주기. 살짝 눌러도 누룽지로 먹으면 좋다.

 

냄비에 쌀 깔기

 

 

콩나물 밭이 되어버린 냄비지만, 먹을 때는 콩나물을 더 넣어도 될 거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쌀 위에 콩나물 얹기

 

 

5. 물 1 컵을 추가한 다음 냄비 뚜껑 덮고 센 불에서 끓인다.
물 1 컵은 적은 것 같지만 콩나물에서 물이 나오니까 저절로 딱 좋은 물의 양이 맞춰진다. 평소에 밥을 할 때처럼 물의 양을 맞추면 나중에 콩나물죽이 될 수도 있다.

 

냄비 뚜껑 덮고 끓이기

 

 

불의 세기는 살~짝 조절해 주어야 한다.
** 센 불에서 5분 ⇒ 중불에서 10분 ⇒ 약불에서 5분 ⇒ 불 끄고 뜸 들이기 **

 

6.  고슬고슬하게 맛있는 콩나물밥 완성!!

 

 

 

7. 달래 양념장 넣고 비벼 먹는 "별거 없지만 자꾸 먹고 싶은 콩나물밥"이다.

 

콩나물밥과 양념장

 

 

** 나만의 요리 tip **
♠ 양념장에 달래를 넣으면 향긋한 맛을 업그레이드시켜 준다.
♣ 양념장에 설탕대신 물엿과 매실청을 넣으면 단맛보다는 달콤한 맛이 생긴다.
♥ 콩나물밥은 센 불에서 5분 ⇒ 중불에서 10분 ⇒ 약불에서 5분 ⇒ 불 끄고 뜸 들이기. 

 

 

동영상으로 보고 싶다면 클릭!!